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이론이나 모델들은 신문이나 텔레비전과 같은 매스미디어의 효과를 전제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인터넷의 등장으로 기존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새로운 적용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미디어 의제 설정(Agenda-Setting) 이론의 논의 속에서, 인터넷의 상호 작용성이라는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출현한 능동적 수용자들에 의한 공중 의제 설정의 사례 연구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의제 파급 (Agenda-Rippling)과 역의제 설정(Reversed Agenda-Setting)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찾고자 한다. 이는 기존 이론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난 기능의 추가를 통해 이론적 적용 범위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Most of traditional communication theories and hypothetical models are suggested and tested based on mass media like newspaper and Television. The recent emergence of the Internet asks communication researchers to newly apply these theories into this new medium.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in agenda diffusion onlin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raditional Agenda-Setting theory by exploring new functions of Internet-mediated Agenda-Rippling and Reversed Agenda-Setting. In doing so, ten representative recent online-assisted social issues in Korea were analyzed. Along with creatively conceptualizing of new functions, findings of major online channels for agenda rippling would be meaningful and helpful for future related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