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미국언론의 여론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대외)경제정책에 대한 보도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 엘리트 언론이 생산하는 ‘뉴스’를 ‘정치적 대중지식’으로 정의하는 한편으로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엘리트’ 모델을 제안했다. 그리고 이 모델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의 ‘강한달러정책’과 ‘재정적자 축소 프로그램’을 사례로 선정했다. 저자는 이에 먼저 정치적 지향점이 다른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타임스(NYT)와 같은 미국엘리트 언론이 정권교체에 따른 정책변화를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살펴보고, 달러패권의 유지라는 합의된 국가이익에 있어 이들이 파이낸셜타임스(FT)와 로이터통신(Reuters)과 같은 영국언론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폈다. 이를 위해 관련 기사 120개를 긍정적, 부정적 및 중립적 태도로 나누고, 특정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동원된 ‘정보원의 전략적 선택’(sourcing), ‘특정한 시각으로 인식하기 하기’(framing) 및 ‘특정 잣대로 평가하게 하기’(priming)와 같은 기제를 분석했다. 양적 및 질적 내용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저자는 미국 엘리트 언론이 대내적으로는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특정 정책을 지지하는 한편으로 대외적으로는 대외경제정책의 성공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한국 언론이 보여주는 미국언론에 대한 맹목적인 의존성이 초래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국형 언론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at eliciting meaning lessons for Korean news media by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 S. elite media and foreign economic policy. For this, while starting with re-defining ‘news’ as ‘political public knowledge,’ this study proposes to consider U. S. prestigious media as cultural elite. Then ‘strong dollar policy’ and ‘federal budget reduction program’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verify theoretical reliability of this model.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d how ideologically different media covered the same policy throughout regime change as well as did compare American media with U. K. media in covering nationally agreed policy. Thus total 120 analytical articles, lengthy of above 700 words, were analyzed in terms of attitudes, sources, frames and prim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U. S. prestigious media took an active part in shaping public opinion for the benefit of their primary readership while at the same time standing side by side in preserving shared national interest. In this regard, while urging Korean journalists not to follow U. S. media in a blind manner, the author hopes to initiate a dialogue about a desirable journalism model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