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사회학과 경영, 경제학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던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언론인에게 적용하려는 시도로서, 언론인들이 자신의 경력에서 맺게 되는 외부 연결망을 사회적 자본으로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의 편집부장급 이상 간부진들이 가지고 있는 외부 단체와의 관계를 자료로 해서, 이들이 가지는 연결망의 특징과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문사 간부들의 소속 조직, 직위, 출신대학 등, 행위자들이 가지는 조직 요인과 개인적 속성이 외부 연결망의 형성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간부들의 외부 연결망이 가장 활발했으며, 한겨레신문의 간부들이 가장 연결망이 적었다. 직위별로는 임원급 간부들의 연결망이 가장 활발하며, 출신대학별로는 연고대, 서울대 출신의 간부들이 다른 대학 출신의 간부들과 차별화된 연결망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언론인들 전체로 볼 때, 언론인들이 주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연결망은 정부위원회와 언론단체에 몰려 있어서 상당히 협소하며, 따라서 외부 연결망에 기초한 사회적 자본의 가치도 제한적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간부들이 가지는 외부 연결망은 소속 신문사의 매체 영향력에 따라서 양극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런 양극화는 신문사의 최종 생산물인 뉴스의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roaches the Korean journalist’s social capital with the external network ties that they possess during the career path.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newspaper journalist’s self-reporting network ties with variou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committe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ize and structure of network ties are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positions, college graduated, and newspaper organization itself. The people in the Chosunilbo and Dongailbo, so called major newspapers are more connect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than those of the other newspapers. The more active network ties are also found in the people who are board members and major university graduates respectively. However the Korean journalists’ social capital based on the external network ties are rated very narrow since their ties are confined to a few groups such as government committees and journalist organizations. The structure of external network ties were divided into core and periphe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jor/non-major newspaper companies, which may result in the difference of news production competitiveness among newspaper compan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