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하철이라는 이동공간 안에서 대학생들의 매체소비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공간의 매체 이용행태는 지하철이라는 이동공간의 매체소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 공간이 기존 매체 소비가 확장되는 공간 또는 고정 공간의 보완적인 측면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지하철 이동시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응답자의 의지와 관련된 12개 문항을 요인분석 한 결과 크게 3가지 요인이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군은 자기발전을 위해 가치 있는 정보 등을 탐색하는 “생산적 시간추구” 요인, 두 번째 요인군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자기의 개성 표출 및 오락을 지향하는 “유희적 시간 추구” 요인, 세 번째 요인군은 이동 공간 안에서 휴식이나 기분을 안정시키기를 원하는 “안정적 시간 추구”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하철 공간 내에서 타인의식과 매체 소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넷째, 지하철 이용량과 매체소비 패턴을 살펴본 결과, “독서”, “수면”, “문자메시지”, “무료신문” 등이 지하철 이용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성별 매체 이용행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매체 행동에 남녀의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media consumption in the subway as a mobile space based on new media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considered to use various media in the subwa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s including calling surfer, gambler and sceptic in term of motives to use various media in the subway. Surfers tended to spend a time for the productive purpose. Gamblers tended to spend a time for fun. Sceptic peoples tended to take a rest during moving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erms of media consumptions. The results of the t-test analysis showed that males and females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choices in the subway. Males tended to use more media than female. Finally, media consumption in the subway was habitual. It suggested that media consumptions in mobile spaces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fixed spaces such as home, school, office etc. There were high degree of correlations in terms of media uses between mobile and fixed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