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일일드라마에서 금기시되어 오던 종교와 신비주의를 소재로 다룬 드라마를 “코드파괴 시리즈(code-breaking series)”의 한 사례로 규정하고 그 기획과 제작과정을 연구하였다. 코드파괴 시리즈란 해당 장르에서 오랜 시간에 거쳐 개발되고 유지되던 관행과 제작코드에 도전하고 이를 따르지 않는 문화상품을 의미한다. 드라마 제작진과의 심층 인터뷰 데이터를 기초로 재구성한 기획 및 제작과정의 분석을 통해, 제작진 내 일부에서 제기된 코드파괴 시도를 실제로 구체화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은 시청률 논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청률 논리는 제작과정에서 종교와 신비주의 재현의 한계를 설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준으로 기능했는데, 제작진은 시청률로 확인되는 성과를 통해 애초의 코드파괴 시도를 절충, 타협하여 일반 대중이 받아들일 수 있는 신비주의 재현의 한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르는 의사결정을 하였다. 한편, 제작과정에 대한 제작진의 진술을 담론적으로 분석할 때, 이들은 한국사회의 문화 엘리트로서, 현재 한국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진단,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교와 신비주의를 대중문화의 소재로서 활용하려고 시도하는 한편 그 재현의 한계도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es of a television daily serial, defining it as a case of “code-breaking series,” which does not follow and challenges conventions and codes of the genre. The choice of shamanism and its mysticism as a subject matter of the daily serial genre was an unconventional attempt that tests the received ide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religion in contemporary Korea. From the analysis of the processes reconstru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duction team members, this study argues that it was the “logic of ratings,” governing the production team’s decision-making, that turned the code-breaking efforts into a media product. From the members’ discursive justification of their production decisions,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media producers acknowledge the changes that contemporary Korea is experiencing in it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spheres. Through the social location of shamanism in Korea, they, as cultural elites, define and diagnose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in terms of the late modern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