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국의 경우 2001년부터 2006년까지 Health Communication과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에 수록된 전체 408건의 아티클 중 무작위로 선정된 200건을, 한국은 2001년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널에 발표된 33건 아티클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 경향을 기술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주요 분석 유목들은 첫 연구자의 특성(소속기관, 학과), 연구비 지원 여부,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토픽, 사용된 연구방법 및 샘플 집단, 이론사용 여부, 그리고 구체적 연구내용이었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경향의 결정적인 차이는 다양성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연구자의 상당수가 커뮤니케이션 외 다른 학과에 소속되어 있었고, 의료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토픽들에 관심을 갖고 있었을 뿐 아니라 연구방법과 샘플 집단 및 연구 내용에 있어서도 다양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물론 관련 연구 수의 절대적 열세라는 측면에서 그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한국의 경우 병원 등의 의료공간에서 발생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연구주제로 포섭하지 못한데서 결정적인 차이가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state of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wo hundred articles randomly selected from the two American journals (2001~2006),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nd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and the whole number of articles (thirty-three) published in Korean communication journals (2001~the first half of 2007) were compared.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 abstracts, w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the extent of research funded, the common health topics covered, the types of research presented, research designs and samples used, and theories on which research is based. This article concludes with reflections 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direction of future work in the area of health communication in the context of this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