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개인적ㆍ비공식적 매체로 새롭게 등장한 블로그를 이용하여 정치인이 다른 정치인과 맺는 디지털 네트워크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리는 정치 블로그 공간의 관계적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서 17대 국회의원들 사이의 블로그 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해 왔다. 2005년 7월 한 달 동안 블로그를 운영하는 107명의 국회의원의 인터넷 공간을 직접 방문하여 이웃으로 링크된 동료 의원이 누구인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블로그 네트워크의 형태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웃 링크를 통하여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가 천천히 발현하고 있었고, 이런 경향에서 한나라당 의원의 중심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유유상종에 기초한 배타적 모습을 띠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dden structure of the South Korean political blogosphere using hyperlinks between politicians' personal blogs. The sample for this research is drawn from the blogs of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men class of April 2004(N = 107), and the data collection occurred during July of 2005. Several social network analyt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blog-specific linking practices within this group of politicians in South Korea.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online markers of homophily, in the form of hyperlinks, tend to follow the expectations established by centuries of Korean political tradition. In this context, personal blogs, politicians tend to link to other politicians who share the characteristics that drive many other phenomenon in Korean politics, namely, affiliation based on party, gender, geographic origin,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