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노동운동의 정당성 위기는 외환위기 이후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 잡은 신자유주의와 깊은 연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신자유주의담론을 재구성하는 한편, 1993년부터 작년까지의 노동운동 보도를 프레임, 보도태도, 핵심가치로 나눠 분석했다. 분석결과, 미디어 노동담론은 신자유주의담론과 역사적으로 접합해 왔고, 언론사의 정치적 이념과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선일보는 노동운동을 구시대적 낙오자, 개혁방해세력, 불법이익집단으로 프레이밍하고, 이를 부정적으로 보도하는 한편, 경쟁력, 국익, 효율성 등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했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노동운동을 민주주의 견인차, 생존위한 저항자, 구조적 피해자로 틀 짓는 동시에 이를 긍정적 또는 중립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디어 노동담론의 차이점은 그러나 신자유주의 담론의 생애주기와 더불어 변화했으며, 외환위기 이후에 접어들어 그 차이는 점차 희석되었다. 지배적 담론이 노동운동을 다루는 미디어 담론의 영역에서 어떻게 재생산되고, 집단적 태도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핀 이 연구는 현 노동위기에 대한 성찰적 반성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Ever deteriorating public opinion toward labor movement points the likely impact of neoliberal discourse which has been prevailing particularly since the Korean crisis in 1997. This paper thus attempts to assess whether the so-called neoliberal discourse is indeed reflected on media coverage interwoven with public opinion. For this, while dividing time periods from 1993 to September 1997, from Novemberm 1997 to August, 2001, and from IMF graduation to 2006, this paper traced down the shift of media frame, attitude and privileged values. Discourse analysis revealed that not only were media coverages affected by political peculiarity but they have also changed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financial crisis and government policy. More to the point, much of the difference of media coverage has been narrowed with the evolution of neoliberalism which had its own life cycle from invention to competition to prevailance and to common sense. Putting such findings into account, the authors claim that public’s antipathy against labor movement may not be fully understandable without relating it to media discourse and that it is high time for the labor unions to sincerely engage in discourse competition particularly on the field of the mainstream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