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의 미디어 논조지수(tone index)를 새로 작성해 만든 경제뉴스와 경제상황-소비자 기대심리-소비행위 간의 상호 예측관계를 벡터자기회귀(VAR) 모형과 다중회귀 모형을 이용해 검토했다. 연구결과 통계상 경제지표가 보여주는 실제 경제상황과 이에 대한 소비자 기대심리는 서로 예측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의 경제뉴스 보도는 즉각적으로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국내 언론이 경제여론의 주도자 또는 의제 설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언론의 의제설정 기능은 경기확장기보다 경기하강기에 더 컸다. 언론의 논조는 특별히 경기가 하강국면에 놓여 있을 때 소비자 기대심리 형성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소비자의 기대심리 변화는 실제 소비활동에 영향을 주는 자기실현적 기대(self-fulfilling expectation) 가설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의제 설정자인 언론이 경기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부정적인 논조의 프레임으로 보도할 경우 의도하지는 않았을 수 있지만 실제적으로 경제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책 당국자가 경기상황에 대한 평가나 해석과 관련해 언론, 기업, 소비자 등 민간경제 주체와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경제보도 논조가 국가 경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해 국내에서 속성 의제설정 연구의 개념정립과 함께 이를 위해 시계열 분석 방법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토론한다.


This article sets out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nctions of the dynamic agenda setting of economic issues through the vector autoregression (VAR) and regression analyses. We have investigated the newly-compiled Korean media tone index of economic news, the state of the economy, consumer expectations and consumer behaviors. Our results show bilateral influence running between the actual state of the economy and consumer expectations concerning the economy. In addition, the tone of the media coverage of economic news has an immediate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consumer expectations. Accordingly, the domestic media tend to play the role of agenda setters pertaining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current economy.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edia coverage is greater in periods of business contraction than those of business expansion. The tone of media coverage, which has been adopted toward a possible downturn in business activity, tends to relate significantly to the comsumer expectations even after controlling major economic indicators. Changes in consumers' future expectations are analyzed as having the character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that influence the actual level of consumption activity.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found that while the press and media cover the current economy negatively without reflecting the over-all state of the economy, they may in fact insist negative influences on people's real economic activities. This has happened although the media might not have intended to do so. Consequently, the policy authorities will be confronted with the need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various economic agents including the press, firms and consumers concerning their own assessment or interpretation of the state of the economy.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at the tone of economic reporting can exercise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nation's economy, we discuss the future agenda setting research in and outside of South Korea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more complex time series methodology to this area of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