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영어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에서 세계어로서의 영어가 갖는 문화적 영향력에 대해 고찰한다. 한국에서 영어 교육의 역사는 근대의 시작과 함께 하지만, 세계화의 물결과 함께 영어는 교육의 영역을 넘어 미디어와 일상에까지 스며들어 있다. 특히 교육과 미디어와 오락이 융합하는 현재 상황에서, 영어가 한국의 국가 정체성과 사회 현실을 구성하고 반영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그 수가 증가한 ‘영어마을’은 바로 이러한 교육과 미디어와 문화의 접점을 연구하고 영어가 우리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통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경기영어마을 파주캠프, 그리고 이 영어마을과 합작으로 어린이 프로그램을 만들어 방송했던 SBS의 <TV 영어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 영어가 누리고 있는 지위와 문화적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다매체 시대의 미디어 경제학과 지방자치제의 정치적 공간 활용이 상호작용하여 어떻게 영어라는 교육 영역을 오락과 생활과 경제의 영역까지 확장시켰는지, 그리고 어떻게 영어가 ‘낯선’ 언어에서 ‘일상’의 언어로 침투해가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In comtemporary societies, there would be few debates about the status of English as ‘lingua franca.’ Intensifying global flows of people and information have formed new communities and spaces across social and political boundaries. Higher education is one such globalized knowledge space in which new patterns of knowledge, values,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emerging. Taking ‘English Village’(Paju Camp) and ‘TV English Village’(SBS) as exemplary spaces,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in which English is commodified and spatialized in everyday life. ‘English Villages’ are immersion camps that provide short-term experience of the life and culture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TV English Village’ is a program which is co-produced with Paju English Village. In this paper I first outline the cultural dynamics of English in Korea. Discussion on the symbolic meanings generated throughout the spaces of English Village will be followed. By doing so,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nglish Village and consuming related television program has not been a matter of the purely endogenous spatial configuration, but rather a complexed response to the forces of globalization. English Village is a mixture of reality and fantasy; educational enterprise and entertainment; local and global; and the strange and the famili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