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귀인 성향이 위기상황에서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5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집단주의 성향과 귀인 성향 간 관련성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주의 성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수용 간 관련성은 유의미하였다. 즉,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선호하고 방어적 전략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귀인 성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 간 관련성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위기에 대한 책임을 ‘우리 탓’으로 돌리는 내부귀인 성향이 클수록 ‘책임 회피하기’ 등의 방어적 전략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사과하기’ 등의 수용적 전략을 선호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은 위기상황에서 방어적 커뮤니케이션보다 수용적 커뮤니케이션을 훨씬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향후 위기상황에 처한 조직은 방어적 커뮤니케이션보다 수용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한국인의 집단주의 및 귀인 특성에 부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위기 극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the collectivism /individualism characteristic and the attributional propensity on the acceptance of crisis-related communications. The study surveyed 150 purposive sample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conceptuali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outcomes showed that the collectivistic characteristic and the attributional predisposi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However, the collectivistic propens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sitive acceptance of crisis-related image restoration communications. People with the higher collectivistic character accepted the accommodative communica- tion strategy more positively and evaluated the defensive communication strategy more negatively.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ional propensity and the acceptance of crisis-related image restoration mess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re people attributed the crisis to the internal problem, the better the accommodative communication strategy was evaluated.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Koreans preferred the accommodative communications in general. Other results also showcased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