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결과와 우연성 프레이밍 방식에 따른 메시지 유형, 메시지 노출 전 준거점 설정 효과의 유도 유무, 지각된 위험이 공공이슈에 대한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결과 프레이밍 방식에 있어 손실 프레이밍 메시지는 이익 프레이밍 메시지보다 공공이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연성 프레이밍 방식에 있어서는 확실 프레이밍 메시지가 불확실 프레이밍 메시지보다 공공이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메시지 노출 전 준거점 설정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유도하지 않는 것보다 공공이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시지 노출 전 준거점 설정 효과를 유도한 조건에서 손실 프레이밍 메시지와 확실 프레이밍 메시지는 공공이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이슈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공이슈에 대한 동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위험을 지속적으로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choring effect, and perceived risk on message receivers’ decision making in relation to public issues. In terms of outcome framing, respondents exposed to loss framed message showed higher consent rate than those who were exposed to gain framed mess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gency framing, respondents exposed to certainty-framed message showed higher consent rate than those who were exposed to uncertainty-framed message. In the condition where anchoring effect was activated, loss framed message and certainty-framed message were more effective to draw respondents’ consent, rather than in the condition of anchoring effect not activated. Finally, the more respondents perceived the risk in relation to the public issues, the less they agreed to the public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