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모바일의 멀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음성, 문자, 영상통화) 수용자들이 인식한 매체풍요도가 높은 매체와 그 매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특성을 성격적 요인(내향성, 외향성)과 심리적 요인(사회적 현존감의 경험)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요인(성별, 연령)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바일 수용자는 모바일의 멀티미디어적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영상통화를 매체풍요도가 높은 매체로 인식하는 반면, 문자메시지는 상대적으로 매체풍요도가 낮은 매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각 매체별로 매체풍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음성통화의 경우, 외향성, 사회적 현존감, 연령, 성별 모두가 매체풍요도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자메시지의 경우 성별에 따른 매체풍요도 인식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영상통화의 경우에는 사회적 현존감만이 매체풍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바일의 음성, 문자, 영상통화 각각의 실질적인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은 연령,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r’s characteristics affecting perception on richness of the three forms(voice, text and video phone call) and their actual usage. As the mobile user’s characteristic, we focus on the individual personality(introversion & extroversion) as the personal variable, experience of social presence as psychological variable and demographic variables(age, gender). Based on online survey with 400 samples som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bile users perceive video phone call as the rich medium while text message as the lean medium i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user’s characteristics affecting perception on richness of the each medium. In case of voice call, it is shown that extroversion, social presence, age, and gender influenc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media richness. In case of text message, gender does not influence difference of perception on media richness. In case of video phone call, the study found that the social presence only influences perception on richness. Meanwhile, the study found that user’s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each actual usage of mobile voice, text, video phone call were the demographical variables such as age an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