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 매체 이용이 사회자본(social capital)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반대의견 나누기(cross-cutting talk)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려는 데 있다. 이 시도는 많은 선행 연구들이 대중 매체와 사회자본 간의 직접적 인과 관계에만 주목해 복잡한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현상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켰다는 지적에서 출발했다. 미국 뉴욕주 4개 도시 거주민에 대한 이메일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가능한 매개 경로들을 분석해 보았다. 유의미한 인과 관계는 대중 매체 이용→대인간 커뮤니케이션→사회자본에서 나타났다. 대중 매체 이용의 사회자본에 대한 직접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반대의견 나누기도 유의미한 매개 변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앞으로의 사회자본 연구에 있어, 대중 매체 이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수용자들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나눠 분석해야 필요성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는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이 오프라인과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도 보여주고 있다.


Communication studies on social capital have explored various effects of mass media use on social capital.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a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This study investigated two possible mediation models by including two variables interpersonal communicaiton and cross-cutting talk between the two concepts. An e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of four cities in New York state, U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interpersonal mediation model (mass media us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ocial capital) was acceptable. The cross-cutting talk was not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mass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The results also showed different mediating paths for online and off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