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말~20세기 초 동아시아에서는 서구인들에 의한 거류지신문이 광범위하게 나타났었다. 그러나 이 신문들이 갖는 정치적 성격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일본의 외국인 거류지신문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서구인과 일본인의 관점에 입각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당시 제국주의의 가장 큰 피해자였던 한국의 입장에서 일본의 외국인 거류지 신문의 성격을 논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근대 일본의 대(對) 조선 침략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정한론’을 둘러싼 일본 내 영국계 거류지 신문의 보도 양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영국계 거류지 신문은 ‘정한’을 부추기면서 일본의 대륙 팽창주의에 적극 동참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시 영국 제국주의의 동아시아관이 민간 차원에서 구체화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에서 나타난 거류지 신문의 정치적 성격과 기능은 당시 서구 제국주의 특히 영국 제국주의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될 때에만이 그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Whenever foreign journalism in Japanese treaty ports in Early Meiji era is mentioned, we can see that it is referred as 'good model for the young Japan'. And that kind of high evaluation has been made not only by the Westerners but by the Japanese themselves. However that evaluation would be no more than a superficial sketch of treaty port journalism at least from the viewpoint of its organic functions related to western imperialism on Eastern Asia. English newspapers published in Yokohama had been involved in a sort of instigative reports on Korean matters around 1872-1873. Fictitious news and rumours on Korean matters had appeared, on top of which we can see a malicious forgery of foreign document. It should be noticed that even Takayoshi Kido, the well-known ex-advocate of 'Corean Expedition', did make a severe criticism on those foreign papers eager to stir up a war mood between Korea and Japan without any reserve only to pursue their own benefits from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