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각각 유력한 여성 대선주자가 참여한 경선 캠페인 기간 동안 대학생 유권자들이 어떻게 여성 정치인에 대한 태도와 평가를 형성하는지 탐구했다. 여성 정치인에 대한 태도 형성을 설명하는 성 고정관념(Gender Stereotype), 성 스키마 이론(Gender Schema Theory)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와 함께 여성 정치인에 대한 태도 형성 과정에서 뉴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한국과 미국 상황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 정치에 대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고 인터넷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했다. 2007년 한나라당 경선 직전 한국과 미국에서 모두 각각의 유력 여성 후보자들이 활발히 캠페인을 벌이던 시점에서 수행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인터넷 이용의 효과가 양국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유권자일수록 여성 정치인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성 고정관념, 스키마 등 개인의 선유경향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이 적었다. 반면, 미국에서는 인터넷 이용이 유권자의 고정관념, 스키마 등 선유경향에 따라 여성 정치인에 대한 평가를 양극화하는 역할을 한 것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chema, and Internet in shaping individuals’ attitudes toward female political candidates. Both in Korea and America, Gender Identity Theory, Gender Stereotype Effects, Gender Schema Theory have been tes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related variables and Internet use. From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s of gender identity and stereotype were found only in US, not in Korea. Interestingly, the Gender Schema Theory was supported in both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Internet’s potential ability to produce group polarization or opinion polarization in U.S. Differently, in Korea, the Internet were found to reduce the influences of gender identity, stereotype, and schema and contribute to democratic public opinion formation processe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chema, and Internet in shaping individuals’ attitudes toward female political candidates. Both in Korea and America, Gender Identity Theory, Gender Stereotype Effects, Gender Schema Theory have been tes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related variables and Internet use. From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s of gender identity and stereotype were found only in US, not in Korea. Interestingly, the Gender Schema Theory was supported in both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Internet’s potential ability to produce group polarization or opinion polarization in U.S. Differently, in Korea, the Internet were found to reduce the influences of gender identity, stereotype, and schema and contribute to democratic public opinion formation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