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방송사에서 배제된 여성사 쓰기를 시도한 이 연구는 식민 경성방송국 시기와 해방 후 1950년대 말까지의 KBS 라디오 시기 동안 여성 아나운서들의 계보와 채용의 경로, 사회문화적 교육적 배경, 직무와 실제 역할 등을 검토하고, 이들이 특정한 역사적 국면과 조건 속에서 직업 성격과 직업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사료로는 신문, 잡지, 회고록 및 평전 등의 문헌자료와 1950년대 아나운서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1927년부터 1950년대 말까지 대략 30여 명의 여성 아나운서가 채용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고학력의 최첨단 직업여성으로 각 시기의 ‘신여성’이었다. 채용 방식은 특채로부터 경력ㆍ학력에 기초한 공개경쟁 시스템으로 제도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여성)아나운서들은 높은 사회문화적 지위와 직업적 자부심을 획득하였다. 그러나 외양의 화려함에 비해 단순반복적인 일이 대부분이었고, ‘어리고 가냘픈 목소리’를 필요로 하는 젠더화된 직무 체계는 전문화를 지연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초기 여성 아나운서들은 식민시기 라디오 테크놀로지를 상징하는 양장의 단발미인 ‘신여성’, 혹은 한국전쟁 이후 등장한 ‘제2의 신여성’으로서, 각기 일본과 미국이라는 근대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기호들을 전시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이로써 여성 아나운서들은 ‘젠더화된 여성 주체’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여성 아나운서들은 ‘우연히’ 주어진 직업적 기회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남성의 영역으로 진입해 갔으며, 성차가 불평등한 조직과 제도의 구성 원리였음을 밝혀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오늘날 젊은 여성 아나운서를 둘러싼 직업 성격과 역할이 뿌리 깊은 역사적 조건과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외모와 욕망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담론 역시 제국의 근대성으로부터 상업성이라는 기호로 대치되었을 뿐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courses of early Korean female announce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in order to shed light on women’s voices in Korean broadcasting history, which had been excluded. Based on newspaper articles, magazines, and memoirs, as well as oral interviews of early announcers, this study traced back to the employment status of early female announcers, their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job specification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al period(Kyungsung radio station) to the late 1950’s(KBS). Approximately thirty female announcers were employed during the occupational period. Most of them were among the highly educated ‘New Woman.’ As open employment of female announcers became institutionalized, they obtained high sociocultural status and a sense of pride for their occupation. In contrast to their glorious images, however, they played simple and repetitious roles. Gendered working system, which mainly demanded ‘young and feminine voices’ from the female announcers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develop their specialization. Furthermore, early female announcers, who had been a symbol of radio technology and modernne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post-Korean War period, seemed to display and signify Japanese imperialism and American capitalism. As such, they formed multiple occupational identities of ‘gendered subjec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steadily entered what was previously considered to be men’s field; when the opportunity was presented before them, female announcers performed beyond the expectations, proving the gender difference to be a means by which unequal organizations and systems were constructed. It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young female announcers have originated from these historic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