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산업화 시기 여성들의 언론계 진출 및 경력이동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젠더 정치의 관점에서 산업화 시기 한국 언론의 변동과정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산업화에 따른 신문산업의 성장과 여성독자에 대한 관심으로 사회진출을 열망했던 대졸 여성들의 언론계 진출은 196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진출은 언론노동시장의 규모, 여성 인력에 대한 언론계의 요구와 함께, 전체 노동시장에서 기자직이 차지하는 위상(인기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혼 후 여성기자의 직업활동을 가로막은 각종 관행 및 복지정책의 부재, 기혼 직업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여성들이 언론계에 머무는 기간은 남성들에 비해 짧았다. 여성의식의 고양과 함께 근속연수상의 남녀 차이는 점차 줄어들었다. 뉴스 생산조직 역시 유교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에서, 수습기자 시절부터 나타난 차별화된 훈련과정 및 부서 경험으로 인해 여성들은 기자 생활 내내 남성들에 비해 제한된 영역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었으며, 승진상에도 차별을 겪었다. 단 승진상의 성차는 여기자가 언론노동시장의 위계상 주변부에 위치한 노동시장으로 옮겨갈 때 다소 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features of new entrees of journalists as well as their career developments with a focus on gender dynamics in South Korean p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so-called “job queue, gender queue” still existed although the expansion of labor market and entailed social changes opened the door for women’s entry into journalism throughout industrialization periods. In other words, women’s accesses as well as barriers to journalism field were influenced by the status of journalistic profession in entire labor market. Along with increase in women’s entry to the entire labor market and their conscious-raising, the years of job experiences extended in Korean press, but the continued patriarchal practices of news production inevitably resulted in sexually differentiated career trajectories. Mostly, women faces not only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ir assignments, but also the tardiness in promotion, which was compensated by their moves to the more marginal labor market such as (women’s) magaz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