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주말 오락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영상자막의 양적 추이를 살펴보고, 리얼 버라이어티쇼라는 장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영상자막이 지니는 특징과 함의를 분석하였다. 첫째, 2008년도 현재 약 4초에 한번 꼴로 영상자막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출연자의 대사를 인용하여 옮기거나 제작진의 의도가 개입된 작위적인 설명, 해석, 평가 등을 중심으로 한 흥미유발형 영상자막이 평균 92.4%에 이르렀다. 둘째,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장르적 속성 속에서 영상자막은 개성 있는 캐릭터를 구축하고 강화하며, 돌발적이지만 평범한 에피소드와 해프닝 속에서 특별한 웃음을 창출해 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평균 4초에도 미치지 못하는 짧은 간격으로 등장하는 과도한 영상자막은 수용자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해석과 시청 습관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열린 미디어 텍스트(open media text)로서의 장르적 속성을 닫힌 미디어 텍스트(closed media text)로 회기시키며, 상호수동성(interpasssivity)에 기인하여 시청자의 프로그램 해석과 평가의 역할을 제작진이 대신하게 만든다. 따라서 영상자막은 재미와 웃음 창출이라는 영상자막의 순기능을 극대화하면서도 텍스트의 개방성과 시청자의 능동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usage state of the visual character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 visual characters which compose a real variety show genre. As of 2008, the visual characters were being used once every four seconds. In addition, the ones with an additional function copying the performers’ words as they are and focusing on the producer’s intention or artificial explanations covered 92.4% in average. Meanwhile, i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variety show, the visual characters were applied 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to create and intensify an individual unique character and special laugh through accidental but ordinary episodes and happening. However, the producer’s active intervention by means of visual characters is expected to disturb the audience’s positive and voluntary audition habit. Accordingly, in order to maximize the function of visual characters, and correct and supplement its dysfunction, the visual characters should be prepared for the purpose of smooth communications between producer and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