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는 어린이가 좋아하는 만화 영화 캐릭터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는 어린이의 만화영화 캐릭터에 대한 동일화 갈망(wishful identification) 현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이다. 초등학교 4, 5학년 어린이 200명을 대상으로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어린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는 외적 매력, 친사회적 행동, 힘과 파워, 지성 등의 특성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유머의 경우 다른 특성들과 무관하거나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어린이의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양상을 보인다. 남자 어린이는 남자 캐릭터와 더 높은 동일화 갈망을 느끼지만, 여자 어린이의 경우 캐릭터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동일화 갈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지각된 유사성과 동일시가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매력, 사회적 행동, 지성 등 캐릭터 특성의 영향력은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캐릭터의 특성 중 유머와 힘은 동일화 갈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낮은 여자 어린이의 경우 여자 캐릭터에 더 높은 동일화 갈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릭터 특성 및 동일화 갈망에 대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consists of two research topics. The first topic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vorite cartoon characters who children like most.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wishful identification with cartoon characters. This study surveyed 200 fourth and fifth grade school children about their favorite cartoon charac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some character attributes such as physical attraction, prosocial behaviors, strength,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one another while one attribute, humor was reversely or insignificantly related with other attributes. In addition, children’s evaluation on character attributes was found to be idiosyncratic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spondents and characters. With regard to wishful ident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ys felt higher level of wishful identification with male characters but girls showed the same level of wishful identification regardless of characters’ gender. In all respondents, perceived similarity and identification with cartoon characters are foun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wishful identification. In some respondents, physical attraction, social behavior, intelligence were also important elements but humor and strength were not associated with wishful identification in any cases. Finally, girls who had low self-efficacy showed higher level of wishful identification with female character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as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