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한국 신문이 처한 문제점을 ‘가치 창출의 실패’로 진단하고, 이를 기능적 체계론의 관점에서 재기술함으로써, 이른바 ‘위기에 처한 한국 신문’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데 있다. 이 글은 먼저 한국 언론이 뉴스 생산 비용을 쥐어짜서 신문 뉴스의 상대적 가치를 높이거나, 시장 구도를 흔들어서 안정적으로 가치를 확보하려고 해서만은 이른바 신문의 위기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대안을 찾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리고 위기에 대처하는 대안적 방법으로 ‘신문 고유 가치의 창출’을 제시한다. 신문의 고유 가치 창출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체계 이론에 근거해서 언론 체계의 고유한 작동 방식을 설명하고, 언론 체계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근거로 신문은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흥미롭고, 문제가 되는 사안을 좋은 이야기로 만들어 고유한 스타일로 제시함으로써 ‘읽는 재미’를 제공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런 진단에 근거해서 신문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신문의 고유 가치의 창출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와 고유 가치 창출을 위한 능력의 배양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re-describes the origin of the crisis of Korean journalism in terms of valuation of newspapers and explores an alternative way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valuation. Three explanatory hypotheses - (1) functional displacement of media use, (2) provision of lower-value, and (3) trust crisis - are provided to account for the ways in which newspapers have lost the readers. The attempts made by newspapers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declining readership are evaluated in terms of a failure of value origina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ping with the problems is offered considering the functional roles of media system in the social system: : Newspapers should reconsider its social functions of creating social attentions and providing social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