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많은 이론가들이 대화를 커뮤니케이션의 원형으로 보고 대화에 대한 여러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대화에 있어서 정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룬 면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에 있어서 정서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살펴보는 초석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부버, 하버마스, 가다머, 바흐친 등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화의 주요한 기능을 살펴본 후에, 기존의 다양한 정서 연구들을 정리하여, 대화이론과 정서연구의 연결고리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러한 연결고리들로서 첫째, 대화에 있어서 이해, 의미, 합리성의 생성과정에 정서가 미치는 영향, 둘째, 대화를 통한 자아의 정체성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정서의 영향, 셋째, 상대방의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이 대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정서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나누어 살펴볼 것을 제안하였다.


Many scholars have developed theories of conversation, considering conversation as an archetype of communication. Theories of conversation, however,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role of emotion in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stablish theoretical basis for the function of emotion in convers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Buber, Habermas, Gadamer, and Bakhtin,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emotion affects the conversational process of achieving mutual understanding, constructing meanings, and producing reasons; (2) what is the role of emotion in constructing the self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sation; and (3) how ability of detecting the other’s emotion influences converstion. This essay also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studying the role of emotion in conv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