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로부터의 학습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변인들, 즉 뉴스매체 이용(노출), 교육수준, 사전지식, 관심, 매체유형(인쇄신문, 온라인뉴스)의 영향을 공공사안 및 오락적 정보로 구분해서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변인들 간 인과관계를 명확히 살펴보고자 실험연구방법을 이용했으며, 회상에 근거한 자술보고 방식 대신 피험자들로 하여금 실제로 뉴스를 이용하게 하고, 그들의 뉴스노출을 행위관찰이라는 좀더 엄밀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총 123명의 피험자들이 참가한 실험연구 결과, 공공사안 지식습득의 경우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상대적 기여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전지식, 공공사안에 대한 관심, 그리고 노출된 매체유형 순이었다. 반면에 공공사안 뉴스 노출시간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락적 지식습득에는 관련 뉴스에 대한 노출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이 외에는 오직 교육수준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치 및 공공사안 정보습득 과정에서 사전지식과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지식격차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 sizes of predictors for learning from the news(public affairs vs. entertainment): news exposure, education, prior knowledge, interest, and media presentation mode(print and online new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a rigorous manner, participants’ news exposure was measured through a relatively objective method, or behavioral observation with an experimental design, instead of retrospective self-report measures. Data from one-hundred-twenty-three participants showed that for public affairs knowledge acquisition, educa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llowed by prior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in public affairs, and news media type. Public affairs news exposure, however, fail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hand, entertainment news exposure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r entertainment knowledge acquisition. Except for news exposure, education was the only predictor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ertainment information gain.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based knowledge gap research as well a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public affairs information 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