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부 PR 실무자들의 개인적 고용형태와 심리 계약 상황, 그리고 정부 조직의 분권성, 공식성, 전문성, 대외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실무자들의 직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인구통계 특성을 첫 Block에 넣어 통제한 후 독립변수인 고용형태, 심리 계약상황, 조직구조 특성이 전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28.2%로 유의했다. 가설검증 결과, 계약직 실무자일수록 승진기회에 관해서만 낮은 직업만족을 보이고 있어 연구가설1은 전체적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다음으로, 정부 PR 실무자들 심리 계약 상황의 직업만족도 영향력을 묻는 연구가설2의 결과는, ‘조직이 구성원에게 이행해야 할 거래 의무’가 전체 직업만족도와 임금수준과 승진기회의 세부 직업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업무자체에서는 ‘구성원이 조직에 이행해야 할 거래 의무’의 이행도가 높을수록 업무자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가설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정부 PR 조직 구조 특성(집권성, 공식성, 전문성, 대외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대한 정부 PR 실무자들의 평가가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본 결과, 집권성과 전문성은 모두 직업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3과 5는 기각되었다. 공식성 역시 유일하게 직업만족도 세부요인 중 ‘임금 수준’에만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쳐 연구가설4는 전체적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1의 ‘대외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직업만족도 5개 세부 요인 중 ‘임금 수준’ ‘승진 기회’ ‘업무 자체’ ‘동료 관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다양한 함의가 토론되었다.


A variety of studies on how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affects employee's job satisfaction have been paid attention. This study, therefore, assumes that employment status, psychological contract status, and organizational structural traits are important variables for deciding organization member's thoughts and ac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governmental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employment status, psychological contract status and organizational structural traits (decentralization, officialization, specialization,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takehold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ypothesis 1 and 2 were not supported because governmental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employment status, psychological contract status made partially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while hypothesis 3 and 5 were not supported because organizational structural traits (decentralization, specialization) did not mak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hypothesis 4 was partially supported because an organizational structural trait (officialization) did make effects on the part of their job satisfaction. Finally, governmental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communication activities with external stakeholders did make a nega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results have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