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유엔군사령부 심리전부가 KBS를 심리전 방송으로 활용하면서 감독과 정책 통제를 실시하였고, 방송시설의 복구와 확충을 크게 지원하였던 사실을 밝힌 실증적인 연구이다. 먼저 KBS 통제권이 유엔군에 넘어가게 된 원인을 찾았고, 정책 통제의 본질은 방송내용의 검열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KBS 방송과 운영 전반에 걸친 통제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전부 파견대는 프로그램의 편성과 제작, 전파 송출까지 담당할 수 있었다. 그 법적 근거는 유엔군사령부가 한국정부와 체결한 협정이었다. 한국정부가 KBS 통제권을 회수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고, 휴전 직전에 이르러서야 방송주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 또한 유엔군은 전쟁 피해를 복구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방송시설의 확충 사업을 대대적으로 지원하였다. 1951년 상반기부터 사업을 시작하여 이듬해 가을에는 서울방송을 제외하고는 마무리를 하였다. 그 결과 방송국의 숫자나 총출력 등 방송역량에서 전쟁 이전 수준을 훨씬 능가하게 되었다. KBS의 심리전 능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1950년대 이후 한국 라디오 방송이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This paper is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ntrol and support for KBS by UNC. Psychological Warfare Section of UNC enforced regulations of policies and supervision on KBS. This was a roundabout way of indicating censorship on the broadcasted contents, but in fact, it was the overall control over the broadcast and operation of KBS. The Korean government tried to recover the management of KBS when political needs were urgent. Sometimes this led to conflicts between the two. By the tim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regain its broadcasting sovereignty just before the armistice. UNC strengthened the capability of psychological warfare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Swift restorations were made for damaged broadcasting stations, as well as improving facilities and powering up transmission output. Starting from the spring of 1951, policies were newly launched to expand broadcasting facilities. By the second half of 1952, expansion of facilities and setting up of new projects were near completion. This led to a leap forwar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radio broadcasting and brought forward the golden days of ra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