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권한과 위상이 크게 강화되면서 지방정부/자치단체장이 지역언론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비록 자치단체장의 성향에 따라 그 강도와 방식은 차이가 크게 있었지만, 지방정부/자치단체장은 지역언론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었다. 첫째, 자신들을 문제 삼는 기사를 축소, 제거하고자 언론사 구성원들을 포함한 다양한 인맥을 동원하여 압력을 행사(하려)하였다. 둘째,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인사들이 포진되도록 지역언론의 인사에 개입(하려)하였다. 셋째, 지역언론을 ‘영향력 행사가 가능한 언론’과 ‘영향력 행사가 어려운 언론’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관리하였다. 넷째, 지역발전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비판적 기사의 생산을 억제(하려)하였다. 다섯째, 자체 홍보 기능을 대폭 강화하여 지역언론의 자발적 동의를 창출(하려)하였다. 또한 지방정부/자치단체장은 언론인 포섭전략도 취하였다. 첫째, 지역언론사 기자들에게 산하 공기업 등에의 취업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촌지, 골프 모임, 간담회 등을 통한 물질적 향응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통제방식들이 큰 논란없이 통용되는 것은 지방정부와 지역언론 사이의 불균등한 권력관계 그리고 지역언론의 수익극대화전략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olitical aspect that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execute the power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lection of news and contents of the local media. Using depth interviews with local journalists, it explores the ways for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o control local media. As results, the ways can be summed up as unofficial control beyond the official controls such as legal and policy controls and attempts to win over the journalists: 1) using every social network for pressing local media, 2) interfering with the reshuffling of local media, 3) discriminately treating between 'manageable' local media and 'non-manageable' ones, 4) instigating and emphasizing the ideology of 'local development', 5) strengthening self-public relation functions. In addition,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ry to get the cooperation of the journalists by providing local journalists with job opportunities in public companies under local governments, and material treats and sup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