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신문들의 오보 정정방식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정정보도를 분석했다. 정정보도의 빈도, 형식, 내용을 연도별, 오보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름, 숫자, 장소 등 단순한 사실에 관한 오류가 기자의 주관이나 정황 등에 대한 오류보다 많이 정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정보도는 2면에, ‘바로잡습니다’ 제하의 기사로 정형화되고 있었으며, 오보 유형에 따라 기사의 길이와 정정 소요기간 사이에 차이가 있음이 발견됐다. 정정보도에서 오보 발생원인, 정정보도 게재 사유, 사과를 밝히는 비율은 10% 미만으로 밝혀져 신문이 오보에 대한 소명과 사후 처리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보가 취재기자보다 취재원에 의해 많이 발생한 것으로 소개된 점, 피해자가 알려와 정정이 이루어졌다고 밝힌 비율이 가장 높은 점, 오류에 대한 사과를 피해 당사자보다 일반 독자들에 막연하게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는 점은 위의 사실을 뒷받침한다. 논문은 오보 정정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촉구하고, 오보 유형별 체계적 분석, 이론과 연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


To examine the Korean Newspapers' efforts for correcting inaccurate news in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five Korean newspapers' corrections for 10 years from 2000 to 2009. By analyzing frequency, format and contents of corrections by years and types of errors, the study found that errors about simple facts including names, numbers, places and so on were more frequently corrected than circumstantial and subjective errors. The results of such rectifications were located in page 2 under a fixed title, 'Corrections', and the format was gradually standardized as time passed. The length of the 'Corrections' and the time required to remedy the errors showed differences by the types of errors. Newspapers rarely revealed the cause of error and the reason why newspapers amended the mistakes in 'Corrections'. Additionally, they were stingy in apologizing for the errors. Concluding that while more errors were occurred by sources than journalists, the news people gave vague apologies to general readers instead of direct victims of false reports in 'Corrections', the current study highlighted the newspaper's unwillingness to correct errors. The study recommends to make the guidelines for 'Corrections'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connecting the exploratory findings of current research to in-depth communication the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