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마트폰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되며 이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변화시키고 있는 중요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의 특성과 이용자 행동을 고려하여 변형된 기술수용모델을 통하여 스마트폰 초기 채택자들의 채택 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정도와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15세 이상의 스마트폰 초기 채택자 600명을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속성 중 성별 변인, 개인적 속성인 혁신성 변인은 채택과 관련된 신념인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인구통계학적 속성 중 연령과 주관적 규범의 일부인 사회적 압력, 채택의 조건 변인인 비용에 대한 부담감은 일부 신념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은 각각 직접, 간접적으로 채택지속의도에 강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초기 이용자들의 채택 행동과 관련된 변인들의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으로는 기술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기술수용이론의 모델을 도출하고, 정책적, 산업적으로는 향후 스마트폰의 확산 패턴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에 대한 정책적 대안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martphone has rapidly emerged as a major digital multi-purpose medium changing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users worldwid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scope and the degree of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smartphone with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or this research, 600 smartphone users from different age and gender groups are surveyed online. The findings support the modified TAM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First, the extern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individual innovativeness, social pressure, and cost burden have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s on behavioral belief in acceptance process; while gender and individual innovativeness have the strongest impact, age and cost have limited impact. Second, behavioral belief includ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ll strongly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on behavioral intention to accept and continue the use of smartphone. The verification of modified TAM among smartphone users in Korea can not only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laboration of TAM considering technological and social uniqueness of smartphone, but also provide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policy options and market strategies in relation to smartphone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