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온라인 뉴스환경에서 일반인들이 블로그나 인터넷카페 등의 공간을 통해 만들어낸 뉴스관련 게시물이 언론인이 생산해낸 것과 제목이나 내용구성이 어떻게 다른지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뉴스속성(연성 대 경성, 인물중심 대 이슈중심)이 현저히 차이나는 4개 토픽을 사례로 선택해서 포털사이트(네이버) 검색엔진으로 찾아낸 모든 게시물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일반인들이 작성한 게시물은 정보전달보다는 관심유도형 제목, 그 중에서도 주제은폐형의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길이는 길지만 사건에 대한 분석과 같은 심층적 내용보다는 의견개진, 감정표현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연성뉴스 토픽들에 관심을 유도하려는 선정적인 제목이 더 많이 이용되고, 의견/주장, 감정표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들이 주로 연성뉴스 위주로 뉴스생산에 참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일반인의 뉴스생산 참여는 접근이 용이한 가벼운 토픽을 대상으로, 사건개요에 대한 소개에 자신의 의견을 곁들이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의 구성에, 주의를 끌만한 선정적인 제목을 붙이는 것이 흔한 패턴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user-generated news posts differ in headline and story organization, compared to online news reports written by journalists. To this end, four distinct news topic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case analysis based on their news attributes(hard vs. soft news, and figure-centric vs. issue-centric), and every related post(news report, blog posts, etc.)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type of headlines and the way of story organization. Major findings from a content analysis were as follows. User-generated news post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articles of online news sites, but heavily featured with sensation-seeking headlines, personal opinions, and emotional expressions, rather than in-depth analysis of given issues. Posts on the two soft news topic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user-generated posts, which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user participation in news production concentrated on soft news topics. In conclusion, it is a typical pattern that users create news posts on relatively light topics by adding their opinions and emotions to brief introductions of issues, and titling them with sensational headlines to draw potential readers’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