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문화 계발 효과 이론을 바탕으로 텔레비전 시청이 사람들의 연애에서의 소비 및 소비 수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할수록 연애에서 소비를 중시하는 태도, 주변 연인들의 소비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과 연애할 때의 소비 수준이 높을수록 좋다는 태도가 계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 연구는 이론적인 차원에서 시청 단위 및 경험이 텔레비전의 계발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텔레비전 시청은 연애에서 소비를 중시하는 정도, 연인들의 소비 수준에 대한 현실 인식 및 적당한 연애 소비 수준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텔레비전 시청 시간 및 연애장르 시청 시간의 영향력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종속변인의 수준에 따라 상응하는 시청 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그리고 작은 차이로 통계적 유의미도를 획득하지는 못했으나, 연애 경험의 양을 통제한 상태에서 경험한 연애 소비 수준은 텔레비전 시청이 연인들의 소비 수준에 대한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Based on the Cultivation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levision on perceptions of consump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seeks to focus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elevision viewing and genre specific viewing, and suggest a new way to measure the resonance effect of relationship experience. Results show that heavy television viewers tend to attach more importance to consump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perceive that other couples spend more, and favor spending more in a romantic relationship. On one hand, the predictive power of television viewing and genre-specific viewing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reached, results showed that a person’s actual amount of consump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tends to increase the influence television has on perceptions of romantic couples’ level of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