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자막이 시청자의 주의, 정서,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자막의 효과가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막이 있는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 자막이 없는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 자막이 있는 텔레비전 교양프로그램, 자막이 없는 텔레비전 교양프로그램을 각각 시청하게 한 뒤 자필로 응답하게 했다. 연구 결과 방송프로그램에서 자막은 시청자의 주의, 각성, 정서유인가, 그리고 자막기억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오락프로그램의 경우 자막의 존재는 시청자의 각성, 정서유인가 그리고 자막내용 기억에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교양프로그램의 경우 자막의 존재는 주의와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오락프로그램의 재시청의도에는 자막과 각성, 주의 그리고 정서유인가가 정적인 관련을 보였으며, 교양프로그램에서는 주의와 정서유인가만이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비록 자막의 존재가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그 효과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방송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자막의 사용에 있어 신중한 판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elevision watching experience changes when visual characters(captioning) are added to entertaining and informative programs. Dependent variables include attention, arousal, valence and memories of the contents. When visual characters was present, viewers felt greater attention, arousal, valence. Those who watched visual characters in a entertainment program remembered greater amount of contents presented as characters than those who watched a entertainment program without visual characters. And those who watched visual characters in a information program remembered less amount of visual contents which was not presented as characters than those who watched a information program without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