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케이션하부구조이론(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을 이론적 틀로 하여, 현재 서울에서 발행되고 있는 중국동포를 위한 에스닉미디어들이 서울 지역 내 중국동포 커뮤니티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중국동포 에스닉신문들이 중국동포 커뮤니티 내의 다른 구성원들(단체/모임, 중국동포 거주자들)과 연계하여 지역 내 중요한 커뮤니티 스토리텔러로서 어떻게 역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중국동포 거주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총 11개 신문사 편집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동포 에스닉신문들은 대체적으로 중국동포 거주 지역에서 중요한 커뮤니티 스토리텔러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동포 대상 신문들은 서울의 중국동포 밀접 거주지역과 이 곳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고, 중국동포 거주자들에게 각종 지역 정보와 소통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신문은 지역 단체 관련 기사를 통해 중국 동포 커뮤니티 내의 다양한 단체들을 소개하고, 기사 선별을 통해 중국동포 지역단체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비정치적 성향의 중국동포 단체 활동에 대한 신문 보도는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지역 이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에스닉미디어-지역 단체-중국동포 이주민(지역 주민) 간에 형성되고 있는 유기적인 관계는 중국동포 이주민들의 커뮤니티 참여와 집합적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resent study reviewed the main arguments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ory as focusing on newspapers for Chosunjok issued at Seoul.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at what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e newspapers offer to Chosunjok living in Korea.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spaper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Chosunjok and what the newspapers mean in forming Chosunjok community. With this in mind, the authors interviewed the 11 newspapers’ editors of Chosunjok neighborhood in Seoul in depth.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se newspapers mainly report the stories of the residential neighborhoods where most Chosunkok live and the stories of the people living in that populated area. So, they provide various local information and chances to communicate each other. Moreover, these newspapers introduce many organizations related to Chosunjok via various articles about local organizations. And they also show the organizations the way to go by selecting articles. On the other hand, the non-political activities reported on the newspapers contributed to encouraging Chosunjok to participate in the local community and improve their interest in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newspapers(local media), local organizations, and local resident(Chosunjok immigrants) has an effect on Chosunjok’s participating in their community and collective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