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SNS의 대중화에 따라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SNS 이용자들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라서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고, 각 유형에 따라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프라이버시 무관심형’, ‘프라이버시 걱정형’, ‘프라이버시 관심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이들 세 유형 간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프라이버시 관심형’이 ‘일반적 주의’와 ‘기술적 보호’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높은 수준의 보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라이버시 관심형’은 게시물 관리나 그룹 설정 등 선행 연구들에서 논의되어 온 프라이버시 경계조절 전략도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프라이버시 염려는 최소한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을 유발하며, 보다 적극적인 보호 행동은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categories of SNS user on the basis of privacy concern and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how Facebook users would be discriminated on privacy protecting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Us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uch as “privacy neglect users”, “privacy fear users”, and “privacy caution users”. Among them, privacy caution users are the most active users of privacy protecting behavior such as general caution and technical protection. In addition, they have actively conducted privacy boundary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inds that privacy concern would trigger privacy protec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would be closely related to active privacy protect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