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political diversity increases levels of political tolerance. This study extends the discussion by clarifying under what social conditions (strong or weak ties) political diversity best yields the pro-democratic outcome of increased political tolerance. It argues that weak-tie diversity is a more significant contributor to tolerance than strong-tie diversity based on two theoretical propositions: that diversity experienced in weak ties enhances the cognitive mechanism through which awareness of opposing rationales occurs; and that the higher likelihood of attitude change prompted by the induced compliance setting in weak ties helps generalize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political difference to tolerance for disliked groups within the larger society. The regression analysis of strong-tie diversity and weak-tie diversity and their respective relation to political tolerance finds that weak-tie divers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olerance while strong-tie diversity had no association. It is discussed that political tolerance could be facilitated better when diversity is conditioned than chosen.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the discussion of political diversity and tolerance to individuals’ larger everyday social network, and attempts to clarify what social aspects of political diversity contribute to facilitating increased political tolerance.


그간 연구에 따르면 정치적 다양성은 정치적 관용을 높인다고 한다. 본 연구는 정치적 다양성의 어떠한 사회적 맥락(강한 관계 또는 약한 관계)이 정치적 관용이라는 민주주의의 결과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이론적 근거에서 약한 관계에서의 다양성이 강한 관계에서의 다양성보다 관용에 더욱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첫째로 약한 관계에서 경험되는 다양성은 자신과 반대되는 상대의 논리를 이해하는 인지메커니즘을 향상시키고, 둘째로 약한 관계의 유도된 응낙 환경에서 촉발된 태도변화가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개인의 경험을 사회 혐오그룹 전반으로 일반화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회귀분석 결과, 약한 관계에서의 정치적 다양성은 정치적 관용과 긍정적 관계가 있는 반면, 강한 관계에서의 다양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이는 정치적 다양성은 선택되었을 때보다 주어졌을 때 정치적 관용에 더욱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정치적 다양성 및 관용에 대한 논의를 개인 일상의 사회네트워크 전반으로 넓히고자 하였고, 정치적 다양성의 어떠한 맥락이 관용에 보다 유의미하게 작용하는가를 탐구하고자 한 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