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페어클로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틀을 이용해 지난 12년 동안 국내에서 제기된 금연과 흡연 담론의 대립을 분석했다. 그리고 금연과 흡연 담론 내의 불안정한 상태의 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의 경쟁을 통해 담론적 변화와 재구성 과정을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공론의 장을 통해 얻어진 담론의 헤게모니가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탐색했다. 담론 형성의 시기는 가격 인상기, 비가격 정책기, 공급자 전환기로 구분되며, 금연 찬성 측에서는 가격 인상, 금연구역 확대, 공익 소송 담론을 생산했고, 금연 반대 측에서는 건강보험 재정 확충, 권리 침해, 소송 무용 담론을 형성했다. 건강보험 재정 확충, 금연구역 확대, 사회적 책임 담론 등이 기존 담론들과 접합되어 사회구조의 제한을 받거나 사회적 실천을 이루며 헤게모니를 얻어갔다. 담론 간 경쟁에서는 가격 인상과 재정 확충, 금연구역 확대와 권리 침해, 공익 소송과 소송 무용 담론이 사회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사회적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 공론장에서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conflicts between non-smoking and smoking discourses that have been going on for the past twelve years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lso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process of discourse transformation by observing unstable ideologies and hegemony competitions within the discourses. Finally, this research observes the process of a hegemony of a discourse earned through the public sphere becoming a social cultural practice. The periods of discourse change are categorized into price escalation, non-price policy, and provider switch. There are oppositions between price escalation and budget expansion, between expansion of non-smoking area and infringement on a right and between public welfare lawsuit and lawsuit useless. The discourses of price escalation, expansion of non-smoking area and public welfare lawsuit, articulated with the existing ones perform discoursive practice while acquiring hegemony. In the struggles of discourses, price escalation and expansion of budget, expansion of non-smoking area and infringement on a right, and public welfare lawsuit and lawsuit useless form the public sphere for competitively obtaining public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