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매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이론 가운데 하나인 의제설정 이론을 5단계 진화 모델이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개념적으로 재정립해보고자 시도한 논문이다. 즉, 초기 미디어 의제의 공중 의제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에서, 의제설정 효과의 외적 조건들에 대한 논의, 소위 ‘2차 의제설정’이라 불리는 이슈나 공적 인물의 특정 속성에 대한 전이 영역, 미디어 의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그리고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인 의제설정 과정 이후의 다양한 효과들에 이르는 과정 등이다. 각 단계별 논의들이 기존 연구 문헌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되었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이론적 개념들과 접근 방식은 앞으로 학문적 논쟁과 도전의 여지를 남겨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론적 진화의 완성이라기보다는 앞으로 후속 연구자들의 학문적 논쟁과 도전의 여지를 남겨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추후학자들은 본 논문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다양한 영역과 환경에서 다양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추후 의제설정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자들에게 이론적 방향을 제시하고 개념정립을 하는데 기초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agenda-setting theory, which, one of the most dynamic research fields in mass communication, has evolved into a broad perspective on news and public opinion from its initial focus on the influence that the news media have on public opinion about the issues of the days. Hundreds of studies have been done under a wide variety of circumstances, and now the theory has been expanded explanatory power by linking up with other communication theories, such as framing or priming. The evolution of agenda-setting theory has explicated five distinct theoretical areas and has expanded to include propositions about the contingent conditions for the effects, the impact of specific elements in the media’s messages, the influences that shape the media agenda, and a variety of consequences of the agenda-setting process. Each phase was discussed in detail with a variety of related literature. The concept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not the completion of theoretical evolution of agenda-setting theory. Rather, it leaves us more challenge and disputation from future scholars. Thus, the five-phase model needs to be more elaborated in terms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 theory of agenda-setting is a complex intellectual map still in the process of evol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