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당위적 주장은 많았지만 체계적인 연구는 별로 없었다. 이 글에서는 ‘지금 여기’ 벌어지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기초를 신명이라 보고, 한국적 커뮤니케이션현상의 이론화를 위한 하나의 시도로 신명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명의 의미를 한국문화사 및 비교문화 관점에서 일별한 후, 신명의 커뮤니케이션적 의의와 속성을 살펴보고, 신명커뮤니케이션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한다. 이어서 여러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신명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고 연구주제는 무엇인지 짚어보고, 그러한 연구주제를 천착하기 위한 방법론적 쟁점을 검토한다. 신명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러한 이론적 모색은 무엇보다도 긍정심리학에 견줄만한 긍정커뮤니케이션 연구로서, 신명나는 사회를 위하여 신명나는 커뮤니케이션을 북돋는 작업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Despite the need to build theories that describe, explain, and predict the Korean communication phenomena, Korean communication theories have yet to b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an attempt to fill this research gap, the author views shinmyoung as a key concept underlying the communication phenomena in Korea, and tries to clearly explicate the concept of shinmyoung and to theoretically integrate shinmyoung into Korean communication theories. In this preliminary study for a Korean communication theory, the author begins to review the meanings of shinmyoung from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 The author then explores how shinmyoung could be applicable to the communication field, and proposes a conceptual model for shinmyoung communication. Finally, the author investigates some research agenda and their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hinmyoung communication theory. In this way, the article sheds light on how shinmyoung communication research as a positive communication study might help to promote delight and happiness in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