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6개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게재된 인터넷 관련 245개 연구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향후 인터넷 연구에서 발전시켜야 할 점과 지양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관련 기존 메타 분석들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인터넷에 대한 연구자 태도, 연구비 출처, 연구 주제, 이론적 배경, 관심 소재, 조사 영역, 조사 방법론에 대하여 분류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인터넷 연구는 미디어 연구 발전 모델의 설명과 조금 다른 유형을 나타냈다.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에 대해 네 가지 측면에서 동시에 연구가 이루어지기보다는 초기 연구의 경우, 인터넷 자체에 대한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둘째, 국내 인터넷 관련 연구자들은 연구 주제에 있어서 편향적 성향을 나타내어 특정 주제에 집중한다는 점이다. 또한 인터넷 개선과 관련된 기술적, 이론적, 방법론적 주제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아 차후 인터넷 연구 발전에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셋째, 인터넷에 대하여 대부분 연구자들은 가치 유보적이거나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넷째, 국내 인터넷 관련 연구의 절반 이상은 이론적 틀을 이용한 과학적 연구보다는 현상을 기술하고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새로운 인터넷 특징들이 대두됨에 따라 연구자의 관심 대상이 확대되고 있으나 조사 영역은 수용자, 내용, 법으로 한정되어 있다. 여섯째, 인터넷 현상에 대하여 나름대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탐색적 연구에 한정되어 있고 양적 분석의 경우, 분석 대상의 다양성과 표집 절차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using meta-analysis, this study reviewed 245 academic papers regarding Internet examined by Korean communication scholars during 1995 to 2005. Data used in this study is limited to 6 major communication journals. This study classified the Internet-related paper into a series of categories such as researchers' attitudes toward Internet, funding sources, research themes, theoretic rationales, interesting points, research targets, and methodologies. Results suggested the six insightful findings, 1) Internet research trends in Korea during 1995 to 2005 are not identified with Wimmer and Dominick's "Developmental Model of Media Research." 2) Examined research themes are limited to a couple of research domains such as audience, contents, and law, 3)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researchers have neutral attitudes toward Internet, 4) About a half of Internet-related researches are not used theoretic rationales explaining Internet phenomena, 5) Although communication researchers' interest is expanding because of emerging new aspects of Internet such as Blog, Avatar, or Movie Trail, their researches are still limited to a couple of targets, 6) Most of all Internet-related researches examined by Korean communication researchers belong to exploratory studies and include complicated problems about research subjects' diversities and sampling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