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문학은 오늘날 언론학의 새로운 이론적 원천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이글은 언론학이 왜 인문학에 관심을 기울이며, 또 어떤 인문학적 상상력을 요구하는지를 주제로 삼는다. 인문학적 상상력이란 언론학이 인문학의 지식뿐아니라 그 속에 담겨 있는 사유의 전통과 직접 교류함으로써 비로소 획득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이 글은 우선 인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이라는 용어 속에 들어 있는 ‘이해’, ‘성찰’, 그리고 ‘비판’이라는 사유의 기본적인 특성을 현실의 인문학 제도 형성과 결부시켜 살펴보았다. 이어 현재의언론학을 진단하면서, 제도적 정체성의 구속 그리고 전문가주의의 구속에서유래하는 지적 빈곤에 여전히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이 연구는 언론학의 자기 혁신을 위한 새로운 상상력의 함양을 위해 인문학은매우 중요한 지적 기반의 하나일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인문학적 접근에 대한 맹목적인 기대는 곤란하다. 또 인문학적 상상력의 여러 차원들을 단순히도구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는 언론학과 인문학의 성공적인 대화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인문학적인 에토스를 통해 보다 성찰적인 지적 태도를 확립하고, 나아가 당대의 삶의 구체성에 대하여 보다 비판적인 관심을가질 때에만 비로소 성취될 수 있는 것이다.


Humanities are considered as one of major theoretical sources for communication studies to overcome their various difficulties.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why communication studies are so interested to the Humanities, and what kind of humanistic imagination they ask. Humanistic imagination can be acquired when communication studies interact with humanistic knowledges as well as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Humanities. In these persp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question of fundamental functions inherent to the term humanities and humanistc imagination ― i.e. Verstehen, Reflection, Critique ― in relation to the constition of the instition of humanities. And it examines in what sense communication studies have produced intellectual poverty within restraints of institutional identity or specialization.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humanities are one of important intellectual basis for communication studies, fostering new imagination for their innovation. But we will not succeed to have a dialogue between communication studies and humanities when we approach or receive different aspects of ‘humanistic imagination’ for instrumental uses. It will be accomplished when reflexive intellectual ethos is established through Humanities, and critical interests are arose towards concreteness of contemporar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