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의 디지털, 글로벌(전 지구적) 환경에서 ‘문화’와 ‘문화 산업’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포괄적이자 적극적, 자의적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문화 현상에 대한 규정에서 드러나는 확장된 인식의 모습을 감안하자면, 문화적 대상의 ‘사회적 생명성의 형태’(The social form of life, Appadurai, 1986; Lash & Lury, 2007)라는 새로운 개념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 과정에서, 문화 생산 및 소비에서의 연속적 흐름들(trajectories)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주․객체의 시공간적 그리고 존재론적 변화의 특성들은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결국, 지금의 전 지구적 문화 산업은 특히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중심으로, 들뢰즈, 가타리적(1994) 관점에서의 ‘생성적 되기’(becoming)의 과정과 전형적으로 결합하며 그 위상적 특이성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 오늘날 전 지구적 문화 산업은 주․객체들의 준안정적 ‘개체화’(individuation, Simondon, 1992; Stiegler, 1998, 2008, 2011), 그리고 그 흐름 속에서 드러나는, 다소 낯설면서도 익숙한 새로운 자본주의 교환 질서, 즉 ‘미디어 교환 시스템’(media exchange, Park, 2014)을 폭넓게 부각시킨다. 이 글에선 우선 형상적(figural)이며 정조(情調)적인(atmospheric) 특징을 나타내는 소위 전 지구적 문화화, 그리고 문화적 대상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소유, 교환 개념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주체들의 ’초개체화’(trans-individuation, Stiegler, 2011)와 ‘빈곤화’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The rising concerns of culture and culture industr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globalised, digital cultural flows. 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global circulations of cultural obj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forms of social life’(Appadurai, 1986) and the ‘global culture industry’(Lash and Lury, 2007). This will allow the engagement of ‘proletarianisation’ in the age of digital, mobile, and social media, through which unique features of global cultural objects’ trajectories such as the strange but familiar economic exchange system and inter-subjective transmutation on ‘meta-stabilising’ cultural spaces and ’trans-individuation’ on subjects will be examined. This research is approached both empirically and transcendentally through the key underpinning factors of this figural, atmospheric aspect of global culture and culturisation. Furthermore, drawing new challenges for the ‘becoming’ and ‘virality’, derived from excessive ‘media-exchange’,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not only global digital pop cultural phantasmagoria, but also the pathological disease of ‘the imaginary’. These are from a capitalistic il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