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디어사 연구 중 가장 현대적인 기술적 경향을 띠고 있는 인터넷매체에 관한 역사 연구를 위한 접근법과 태도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국내ㆍ외 인터넷 사회문화사 연구의 부상과 이 연구들의 대체적 경향들을살핀다. 분석의 층위에서는 매체기술, 특히 인터넷 역사 서술의 방법론에서소외됐지만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두 가지 쟁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기술ㆍ미디어철학을 통해 (인터넷) 매체 고유의 존재양식론적 혹은 매체유물론적 접근태도를 강조한다. 다른 하나는 국내 인터넷의 특수한 진화 과정 속 기술주체의역사적 지위복권과 제도사로의 편입에 대한 방법론을 논한다. 이 글은 각각분석의 대안으로 ‘기술계보학적’ 문화(사)연구와 기술주체의 문화실천에 대한역사계보학적 탐구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터넷 등 매체사를 히스토리오그래피를 통해 보는 과정이 근본적으로 ‘기술비판이론’에 맞닿아 있다고보고, 이는 역사 속 주류화되지 않은 기술주체들이 구성하는 민주주의적 다른기술 경로들에 대한 탐색을 가능케 한다고 본다.


This study focuses how to approach a historical study upon the Internet, which tends to have the most technologically intensified and advanced tendency among the media history studie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the socio-cultural histories of Internet have been done in the international and the national academia. At the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wo issues to be considered, both of which have been significant but alienated from the major historiographical trends of the media histories. One aims to note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mode of existence specific to the Internet and the media materialism. The other intends to discuss the historiographical issue upon making visible the techno-subjects who have been alienated in the formal history of the Internet. With regards to the historiographical alternatives to the two issues, this study recommends both to restore a “techno-genealogical” cultural history and to draw a genealogical map of the techno-subjects’ cultural actions on history,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paper confirms the fact that the histographical discussions upon the media allow us to reach the critical theories of technology and further to explore the various democratic and alternative paths which would be constructed by the techno-subjects, to a mainstream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