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산지규정은 물품 등의 원산지 판정방법 및 확인절차에 관한 규정으로 관련 정책들에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통일된 국제규범이 없어 원산지규정이 나라마다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 불명확하고 복잡하여 오랫동안 무역장벽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에 우리가 중국의 원산지규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는 충분하다.다행히도 원산지규정과 관련된 중국의 자의적이고 불충분하였던 통상정책은 2005년 초 개선되었다. 과거 수입품과 수출품에 서로 다른 잣대를 가지고 있어서 공정성이 의심되었던 중국의 규정은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규정이 여전히 모호하고 불충분한 부분들이 있으며 그 적용에 있어서 중국정부의 자의성이 개입할 여지도 남아 있어서 정책의 일관성과 투명성은 아직도 의문스럽다.


“Rules of origin” are the criteria needed to determine where a product was made. They are used to implement measures and instruments of such policy. While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practice of governments with regard to the rules of origin, the complexity of different discriminatory measures depending on the origin of goods in practice has had restricting effects on international trade for a long time. As the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 is increasing continuously, Korea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practice of China regarding the rules of origin. China’s disputable and deficient commercial policy instrument about the rules of origin, fortunately, has implemented and enforced since the beginning of 2005. In the past, China’s regulation was in question of its equitability in practice because there were double standards between imported goods and exported goods. China’s new regulation enforces single standard for both of imported and exported goods. However, the concreteness and transparency of the policy are still questionable due to the unclear provisions and insufficient regulation. And it still has room in practice for the discretion of China’s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