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심리적 변인과 정치정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는 상주시에 소재하는 초등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각 변인간의 신뢰도를 밝히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의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은 가정의 심리적 환경 변인(응집성, 참여성, 의사소통성, 공정성), 학교의 심리적 환경 변인(공동체의식, 수용성, 학교참여성, 평등성), 정치정향 변인(시민의무감, 정치효능, 정치신뢰, 정치참여)들 간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의 심리적 요인은 아동의 정치정향과 관계가 있는가? 2. 학교의 심리적 요인은 아동의 정치정향과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심리적 요인은 아동의 정치정향과 관계가 있다. 둘째, 학교의 심리적 환경은 아동의 정치정향과 관계가 있다.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sychological Factorsand Political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