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학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따른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지식 및 상위인지전략을 살펴보았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생 총 359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상위인지지식과 상위인지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하였으며, 각 아동의 담임교사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평정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 비해 걱정이 유발되는 상황에 처했을 때 걱정에 대한 지나친 기대로 인해 걱정을 더 많이 하며, 걱정과 관련된 사고를 통제하거 걱정을 적절히 다루는 데 어려움을 높게 지각했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 비해 걱정을 다루는 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 재고 전략과 지지추구 전략을 낮게 사용하였다. 셋째,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일반 아동 및 경미한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에 비해 걱정을 하는 것이 오히려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지나치게 기대하고, 걱정이 들 때 자신의 사고를 조절하기 힘들다고 생각하며, 걱정을 다루는 자신의 능력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s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investigate children's meta-cognitive knowledge of worr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worrie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level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For this study, 328 elementary students answered questionnaires and each child’s class teacher evaluated the child’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low graders, they worried more than high graders because of excessive expectation of worries and were more aware of difficulty in controlling thinking related to worries or handling worries. They used avoidance strategy,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solving of worrying situations more frequently. Children showing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expected excessively that worrying is rather helpful to problem solving, were aware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ir thinking, and evaluated low their cognitive ability to handle wor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