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업스트레스 척도 검사의 총점이 M+1SD이상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31명에게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였다. 설계단계는 회기별 목표에 따라 다양한 활동안을 수집하고 선별하였다. 구안단계는 잠정적 프로그램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11회기의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실제 학업스트레스 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10명은 실험집단에 10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에 학업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첫째, 학업스트레스 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업스트레스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및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역시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academic stress.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is researched, analyzed,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Fist, it reviewed about studies on the concept of academic stress and It surveyed 31 elementary students in higher grade for actual requirement to design a group counseling program. Second, it analyzed the number of program session, session's goal, session sequence. As a result, this program consists of 11 sessions. Third, it designed program contents and activities by pooling and warehousing. Forth, it developed final program by pilot test, expert advice. Fifth, to verify the hypothesis, academic test is used.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 of 20 students who were all in fifth grad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10 students each.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from SPSS/Windows 12.0 was used to analyse statistical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accompani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ults. The major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nderwent more changes in academic stres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students and the counselor observation, the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lieving the academic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