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및 성역할 정체감과 과잉흥분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영재아동 269명으로 성역할 정체감척도와 과잉흥분성 척도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χ2 검증, MANOVA, 상관분석, 상관계수의 차이검증 및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아동의 경우, 미분화,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의 순으로, 그리고 여자아동의 경우 양성성, 미분화, 여성성, 남성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동적 과잉흥분성은 남자 영재아동이, 감각적 과잉흥분성은 여자영재아동이 높게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별로는 대체로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유형의 순으로 과잉흥분성의 크기가 나타났다. 성별보다는 성역할 정체감이 과잉흥분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간 및 성역할 정체감 유형간에는 과잉흥분성 하위요인 상관구조가 거의 동질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gifted children's gender identity and overexcitability. A total of 269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MANOVA, correlational analysis, Fisher's z-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used for data analyses. In both male and female gifted children, androgyny and undifferentiated type were more comm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found on psychomotor and sensual overexcitabilities. Androgynous type has higher scores on five sub-categories of overexcitabilities than masculinity, feminity, and undifferentiated type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gender identity and five sub-categories of overexcitabilities. The magnitude of correlations among the sub-categories of overexcitabilities were generally similar between gender and among subtypes of gender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