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련성이 어떠한가를 규명해봄으로써 보육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보육시설장의 감성리더십 역량 강화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재직 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과 관련되며 각 변인에 대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을 강화하여 보육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장 스스로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긍정적인 역량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감성리더십의 개인적, 사회적 역량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통하여 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인 역할수행에 바람직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ultimately to suggest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onsequentl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hildcare facility operation.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data from 268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J Province on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as well as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was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had an effect on each of the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hildcare facility operation through improving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childcare center directo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eadership and understand their own leadership, and make efforts to maximize their positive competences. Furthermore, through efforts to maintain balance between personal and social competences in emotional leadership, they should exert desirable influence on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