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기 위하여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A시, D시, K시 지역에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14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140개의 Q-모집단에서 다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으며, 4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Q-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제1유형은 37.25%, 제2유형은 9.95%, 제3유형은 6.71%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제1유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고, 다음이 제2유형, 그리고 제3유형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제1유형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제1유형에 속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통합교육이 가진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통합교육의 당위성 및 실천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교육 및 윤리적 가치 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제2유형에 속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교육을 위한 역할과 책임은 일반교사 및 일반학교가 보다는 특수교육전문가 및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여 ‘책무성 부정형’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3유형은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필요성과 이점에 대해 동의하면서 통합교육의 전제로서 여러 가지의 조건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이를 “통합교육 필요 조건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이러한 3가지 유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높여내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Q-methodology was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for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the participants. To put it more precisely, first, the Q-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the individual responses of 140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questions regarding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and idea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40 Q-samples of 40 Q-popula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professors and teachers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and special education. And then, 40 preservice teacher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P-sample of the study. In the Q-methodology analysis, three distinctive types regarding the attitude on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extracted: In Type I, the preservice teachers agre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as an worthy teaching practice for the social justice and right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ype II, the preservice teachers primarily believed that the account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belonged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ype III,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 passive support-centered type believing inclusive education could be implemented effectively only if the policy/law and physical preparation were available. Moreover, the types of the attitude on inclusive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ir experiences through observing in their practicum classes, volunteering in inclusive classes, or taking special educatio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