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를 종합하는 것이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CMA 2를 활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706편의 논문에서 인지발달 312개, 사회성발달 1,526개, 문제행동 1,923개(내재화 897, 외현화 1,026), 총 3,761개 사례수의 상관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메타분석결과, 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에 따라 다른 상관효과크기의 값을 보였다. 자녀의 인지발달과는 합리적, 애정적, 성취적, 자율적, 통제적 양육의 순으로 정적인 관계성을 보였고, 거부적 양육은 부적인 관계성을 보였다. 연령별 차이는 유아기, 초등 1-3, 4-6학년 모두 성취적 양육이 가장 높은 상관효과크기의 값을 보였다. 사회성발달과는 합리적, 애정적, 성취적, 자율적 양육의 순으로 정적인 관계성을 보였으나, 거부적, 통제적 양육은 부적인 관계성을 보였다. 연령별 차이는 유아기에 합리적 양육이, 초등 1-3, 4-6학년에서 애정적 양육이 가장 높은 상관효과크기의 값을 보였다. 문제행동과는 합리적, 애정적, 성취적, 자율적 양육의 순으로 부적인 관계성을 보였으나, 거부적, 통제적 양육은 정적인 관계성을 보였다. 연령별 차이는 내재화와 외현화의 경우에 양상이 달랐다. 유아기에는 내재화 문제행동보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상관효과크기의 값이 높았고, 초등 1-3, 4-6학년에서는 내재화 문제행동의 상관효과 기의 값이 높았다. 이 연구의 의의와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style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or data coding and analysis, CMA2(Comprehensive Meta Analysis V2)program was used. For this study, 706 papers were analyzed. In total, 3,761 cases including 321 cognitive developments, 1,526 social development, and 1,923 behavior problems(internalized one 897and externalized one 1,026) were collected from the papers. According to meta-analysis, there were different correlations depending on rearing style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cognitive development,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rational, affect, achievement, autonomy, control rearing style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rearing style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develop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rational, affect, achievement, autonomy rearing styles.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rearing style, control rearing style and social development. In behavior problem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order of rational,affect, achievement, autonomy rearing styles.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rearing style, control rearing style and behavior problem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ing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