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D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교사 90명과 어린이집의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 총10문항이며 유아영어교육방법으로는 실시횟수, 수업시간, 실시형태, 프로그램준비, 교육내용, 교수방법이 포함되고 유아영어교사에는 전공, 유형, 요구되는 자질, 만족도가 포함된다. 자료분석은 설문지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영어교육방법의 하위요인별 실태는 다음과 같다. 유아영어교육의 주당 실시횟수는 유치원에서는 주 4회, 어린이집에서는 주 2, 3, 4회 많이 실시하고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외부에서 도입된 프로그램으로 1회당 20-30분씩 일과 중 대그룹으로 실시한다가 가장 높았다. 유아영어교육 내용은 유치원에서는 단어 및 알파벳 듣고 말하기이며, 어린이집에서는 이야기 중심(스토리텔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영어교수 방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에서 노래․챈트․손유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사의 하위요인별 실태는 다음과 같다. 유아영어교육 담당교사는 두 집단 모두 영어전공의 한국인 외부강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구되는 교사의 자질로는 유치원에서는 유아교육과정과 유아발달에 관한지식. 어린이집에서는 유아영어교육 이론과 실제 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영어교사에 대해 두 기관에서 각각 약 60%가 만족한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에 대해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 내에서 효율적인 유아영어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practices of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method and English teacher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90 kindergartner's teachers and 100 day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English education method(time of class, class type, program, contents, teaching method,etc.) and English teacher(major, teacher type, qualification, satisfaction, etc.). Frequency and percentil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actual practices of english education method indicated that kindergarten classrooms who carried out English classes 4 times a week and day care centers carrying out English classes two to four times a week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rates. Both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groups carried out 20 to 30 minutes English based curriculums. Listening and speaking words and alphabets were preferred in kindergartens and storytelling was preferred in day care centers as contents of English education. Singing․Chant․Finger-movement as teaching method was preferred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Second, in regarding for English teacher for young children, both of these institutes consisted of Korean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in College, and satisfied for English teacher about 60%. Required English teacher's with qualification were the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development in kindergartens and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young children's English in day care cente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to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and to prepare the effective alternatives for young children's English education based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